
중화민국 교육부는 2019학년도 새학기 신 교과 과정에 7개 신주민 국가 언문 과정을 초등학교 어문 과정에 편성한다고 밝혔다.
타이완에서의 기존 어문과정에는 국어인 만다린(베이징어) 외에 민난어(閩南語-대만말, 타이완어), 학카어(客家語-학카문화 언어), 원주민어(원주민이란 기존의 16개 법정원주민족을 뜻함) 등이 있다.

교육부는 2019년 8월 새학기를 기해 초등학교 1학년부터 기존의 본국 언어(국어,민난어,학카어,원주민어)를 비롯해 12년 국민교육 교과과정에서는 신주민 언어 어문과정을 편성하여 초등학생의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게 된다.
학생들은 민난어, 학카어, 원주민어, 신주민어 중에서 한 가지만 선택하여 수료하면 되므로 학생들의 어문 학습 부담을 가중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이 외에도 중고등학교에서도 탄력적 학습과정과 제2외국어문과정 선택 과목에 편성하여, 신주민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에게 동남아 국가 언어의 학습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언어 교육 범위의 확대는 다족군(종족의 다양성-ethnic diversity) 언어와 문화를 어려서부터 익히면서 학생들이 장차 타이완을 다민족 문화 국가로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화민국 12년 국민기본교육 교과과정의 신주민 어문으로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미얀마, 캄푸치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7개 동남아 국가 어문이 있다.
2019년 8월말에 시작되는 새학기에 초등학교 1학년부터 매주 1교시, 학생들의 자율적인 선택에 따라 민난어, 학카어, 원주민어, 신주민어 가운데 한 가지를 학습하면된다. 중학교에서는 탄력적 학습과정에서 선택 과목으로, 고등학교에서는 제2 외국어문 과정의 선택 과목에서 신주민언어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된다. -jennifer pai